삼국유사에 실린 황룡사, 미탄사, 독서당 연결고리 풀릴 듯

  ▲ 미탄사지 건물지 전경

불교문화재연구소는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시행한 2014년도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인 경주 미탄사지 유적의 2차 시․발굴조사 현장보고회를 지난 5월 28일 발굴현장에서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에는 경주시청 관계자와 전문가(김동현 前 국립문화재연구소장, 최태선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차순철 동국문화재연구원 실장)로 구성된 자문위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현장보고회에서는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미탄사지 동북쪽 사역으로 추정되는 담장열 4기 강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 종각지 또는 비전지 등으로 추정되는 1칸의 적심건물지 등의 유구와 ‘미탄’명 기와와 ‘정’자명 전돌, 연화문․쌍조문․당초문 와당류, 인화문토기(印花紋土器, 도장무늬토기)와 납석제 뚜껑 등의 유물이 공개했다.

자문위원들은 이번 조사에서 ‘미탄’명 기와가 여러 점 확인된 점에 주목했다. 이 명문 기와들은 그동안 추측만 해 왔던 미탄사의 위치를 최초로 증명하는 자료이며, 미탄사와 더불어 최치원의 고택인 독서당의 위치까지 방증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그동안 미탄사와 독서당의 위치는 “최치원은 본피부 사람이다. 지금 황룡사 남쪽에 있는 미탄사의 남쪽에 옛 터가 있다. 이것이 최후(崔侯)의 옛집이 분명하다.”라고 기록된 삼국유사「신라시조 혁거세왕)의 내용을 근거로 지금의 자리로 추정되어 왔었다.

앞으로 조사방향에 대해 자문위원들은 정형화된 도시 가람의 형태를 연구하고, 신라 왕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방(坊) 전체는 물론 황룡사 주변까지 조사를 확대하여 연차 발굴조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해 경주시를 비롯한 사업추진단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에 황룡사 앞쪽인 미탄사지를 포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미탄명 기와

조사단은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미탄사의 규모와 성격 등이 파악된다면 통일신라 시대 도심 속 왕경인의 신앙생활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결과가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문화경관과 어우러지는 보존과 활용으로 이어지길 기대했다.

경주 미탄사지 유적은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의 첫 조사지로 2013년부터 조사 중이다. 이 사업은 전국에 산재한 ‘사지(寺址)’와 ‘사지 소재 문화재’의 훼손이 심각하지만, 그 가치와 실태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여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마련 중인 사지(폐사지)에 대한 단계별 종합정비계획의 하나이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이 계획에 따라 2010년부터 권역별로 ‘폐사지 학술조사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조사를 기초로 중요 사지를 선정하여 2013년부터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프라임경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